2013-2019년 책이야기/2014년 책이야기

14-4 행복의 정복

paula won 2014. 3. 8. 13:45

14-4 버트런트 러셀 지음/ 이순희 옮김, <행복의 정복>, 사회평론, 2011. ***

 

P22 위대한 정치가들이 잇달아 비극을 맞게 되는 원인은 사회와 정책에 대한 관심은 점차 줄이고, 대신 자기도취적인 관심으로 빠져드는데 있다.

P56 나는 일정한 시점까지는 돈이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사실도 부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내가 생각하기에는 일정한 시점을 넘어선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나는 성공은 행복의 한 가지 요소에 불과하기 때문에 성공하기 위해서 나머지 요소들을 모두 희생한다면 지나치게 비싼 대가를 치른 셈이라고 생각한다.

P63 인생의 끝, 권태    행복한 인생이란 대부분 조용한 인생이다.

P71 사람은 어린 시절부터 단조로운 삶을 견디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현대의 부모들은 이런 점에서 크게 비난 받아 마땅하다. 요즘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영화구경이나 맛있는 음식 같은 수동적인 오락거리를 너무 많이 제공하고 있다. 부모들은 특별한 때를 제외하고는 날마다 비슷한 생활을 하는 것이 아이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지 못하고 있다. 어린 아이는 주로 자신의 노력과 창조력에 의지해서 스스로 환경으로부터 즐거움을 찾아야 한다. 영화 구경처럼 재미는 있지만 육체적인 활동이 전혀 수반되지 않는 오락거리를 어린아이들에게 자주 제공해서는 안 된다.

P76 걱정의 심리학    사람을 상하게 하는 것은 과로가 아니라, 걱정이나 불안이다.

P93-95 질투   질투가 강한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불행을 안기고 싶어하고, 또 처벌을 받지 않고 그렇게 할 수 있을 때는 반드시 행동으로 옮긴다. 그리고 질투하는 자신 역시 불행하게 된다. 그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에서 즐거움을 얻는 대신,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서 괴로워한다. 그는 가능하다면 다른 사람들에게서 그들이 가진 장점, 자신이 가지고 싶었던 그들의 장점을 빼앗는다.  …..  내가 생각하기에 질투는 어린 시절에 겪었던 여러 가지 불행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자신의 눈앞에서 형제나 누이가 더 귀여움 받는 것을 목격한 어린아이는 질투하는 버릇이 몸에 배게 된다. 이런 아이가 사회로 나오게 되면 자기가 희생양이 되는 불공평한 대우에 눈을 치켜 뜨게 되고…..

P98 나는 어린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훌륭한 사람이라고 여기게끔 키우는 것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공작새들은 다른 공작새의 꼬리를 부러워하지 않는다. 공작새들은 저마다 자기 꼬리가 세상에서 가장 훌륭하다고 믿을 테니까. 그렇기 때문에 공작새는 온순하다.

P116 다른 사람을 열린 마음으로 대하는 관대한 태도를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고, 자신도 남들에게서 호감을 얻기 대문에 무한한 행복을 누린다.

P141 대중을 무서워하고 있다는 낌새를 보이는 사람을 발견하면, 대중은 좋은 사냥감을 만났다는 기대에 들뜨게 된다. 반면에 대중에 대해서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사람을 발견하면, 대중은 자신들의 힘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그 사람을 건드리지 않는다.

P146 일단 사리분별을 할 수 있는 나이가 되면, 나이 많은 사람이든 젊은 사람이든 똑같이 스스로 결정할 권리, 필요하다면 시행착오를 겪을 권리가 있다.

P158 자신의 능력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하지 않는 사람만이 행복을 느낄 수 있다.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사람은 언제나 뜻밖의 성공에 놀라게 되고,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사람은 뜻밖의 실패 때문에 놀라게 된다. … 그러나 진취성을 잃을 정도로 지나친 겸손은 피하되, 지나치게 자만하지 않는 것이 지혜롭다고 하겠다.

P167 취미에 몰두하는 것은 사소한 신념에 열중하는 것과 그리 많이 다르지 않다. 생존해 있는 어떤 저명한 수학자는 하루 일과를 수학과 우표 수집 두 가지에 똑같이 나누어서 쓰고 있다. …. 나는 강을 수집한다. 나는 볼가강이나 양자강을 오르내리노라면 즐거워진다.

P168 인간에 대한 따뜻한 관심은 사랑의 일종이다. 인간에 대해서 따뜻한 관심을 가진다는 것은 다른 사람을 지배하고 소유하기를 원하며, 언제나 명확한 반응이 되돌아오기를 바라는 사랑과는 전혀 다르다. 이런 사랑은 불행의원천이 되는 경우가 많다. 행복을 가져오는 사랑은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기를 좋아하고 개인들의 특성 속에서 기쁨을 느끼는 사랑이며, 만나는 사람들을 지배하려고 하거나 열광적인 찬사를 받아내려고 하는 대신, 그들의 관심과 기쁨의 폭을 넓혀주려고 하는 사랑이다. 이런 태도로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 사람은 사람들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는 원천이 될 것이며, 그 대가로 친절을 되돌려 받을 것이다.

P174 관심분야가 많은 사람일수록, 행복해질 기회는 그만큼 많아지고, 불행의 여신의 손에 휘둘릴 기회는 그만큼 줄어든다. 어떤 한 가지를 잃게 된다고 해도 다른 것에 의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190 사람들이 열정을 잃게 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자신이 사랑 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데 있다. 반대로 사랑 받고 있다는 느낌은 다른 무엇보다 사람들의 열정을 크게 북돋워준다.

P216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서 양쪽 모두가 만족감을 얻으려면 상대방의 인격이 다치지 않도록 세심하게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P222 지나치게 자식을 염려하는 것은 소유욕의 위장된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 어머니의무지하고 감상적인 태도 때문에 심리적인 장애를 입는 아이들이 많다.

P224 일하는 사람이 덜 불행하다    부자들 중에서도 영리한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들처럼 열심히 일한다.

P248 노력과 체념 사이에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중용을 지켜야 한다.

P261 행복한 사람은 자유로운 애정과 폭넓은 관심을 가지고 객관적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P266 우주가 베푸는 아름다운 광경과 기쁨을 누린다. 마음속 깊은 곳의 본능을 좇아서 강물처럼 흘러가는 삶에 충분히 몸을 맡길 때, 우리는 가장 큰 행복을 발견할 수 있다.